
서론 쿠버네티스는 매우 강력한 도구지만, 그만큼 복잡하고 배우기가 쉽지 않다. 어느 정도 개념을 익혔다 하더라도 이를 실무에 적용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은 또 다른 도전이다. 이제 막 쿠버네티스 학습을 마친 개발자라면, '실제 현업에서 쿠버네티스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고민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 바로 『쿠버네티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모범 사례 2판』이다. 이 책은 쿠버네티스 공동 창시자인 브렌던 번스를 중심으로 저술되었으며, 단순한 기능 설명을 넘어 실제 운영 환경에서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인 방법과 패턴을 제시한다. 이 책이 필요한 사람들 이 책은 쿠버네티스의 기초 개념을 숙지하고 있는 사..

서론 한 해를 돌아보며 회고를 남기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어떤 형식으로 작성할지 고민하다가, 올해 겪었던 주요 이벤트들과 그 과정에서 경험한 일들, 느낀 점 등을 간단히 정리해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되는대로 살자"는 마음가짐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스스로 "열심히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일 년을 압축해 돌아보니, 나름 많은 일을 해냈다는 생각이 들어 스스로 기특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계획 없이, 적당히 살다 보니 덜 지치는 면도 있는 것 같고요. 아마 그런 방식 덕분에 가능했던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제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날인 것 같습니다. 처음으로 존댓말을 사용해 아티클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제 일 년간의 활동을 통해 참고할 만한..

토스의 유난한 도전, 넷플릭스의 규칙 없음을 읽고.서론 이 글은 토스의 발자취와 일에 대한 가치관을 담은 책인 유난한 도전과, 넷플릭스의 새롭고 독특한 조직 문화를 다룬 규칙 없음을 읽고 느낀 점을 정리한 글이다. 두 기업은 자율 출퇴근, 무제한 휴가, 결재 없는 업무 프로세스 등 높은 자유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을 대표하는 키워드인 "자유"는 단순히 개인적인 편의나 복지 차원의 개념이 아니다. 두 기업 문화의 핵심은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 F&R(Freedom & Resposibility) 등의 키워드로 설명되는 "자유"와 "책임"의 균형이다. 높은 자율성 뒤에는 반드시 성과에 대한 책임이 따른다. 모든 자유는 이를 누릴만..

서론 사내 서비스 운영에 kafka 도입이 추진 및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적용된 상태로 운영 중이다. 사내 서비스 아키텍처를 MSA로 전환하면서 여러모로 이벤트 드리븐 아키텍처의 도입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메시지 브로커의 역할을 할 시스템을 kafka로 선정하게 되었다. 이 점에 대해 이력서에 많이 강조했기 때문일까, 얼마 전 모 기업과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kafka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그중 가장 애매한 답변을 내놓게 된 질문이 있었는데, 바로 "왜 kafka인가요?" 였다. 필자는 kafka에 대한 장점을 나열하는 식으로 답변했다. 메시지의 보존, 고가용성 및 확장성 등의 이유를 들며 kafka를 선택한 이유에 대한 열변을 토했다. 하지만, 천천히 복기해 보니 왜 kafka여야 하는가..

안녕하세요, 권기준입니다. 저는 현재 디프만 15기 활동을 하고 있어요. 디프만은 디자이너와 프로그래머가 팀을 이루어 서비스를 출시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을 도모하는 동아리입니다. 저는 모링(Moring)이라는 서비스의 서버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모링이 Ncloud(NCP) 서비스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했는지 소개해드리는 글이 될 것 같아요. 우선 모링이 어떤 서비스인지 간략하게 소개드릴게요. 참고로 저희 모링은 아래 링크에서 현재 베타 테스트를 체험해 볼 수 있어요.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릴게요 😘🔗 Moring 서비스 링크🔗 Moring 인스타그램저희는 모링을 운영하고 있어요 모링(Moring)은 릴레이 질문으로 채워나가는 모임 속 나만의 자기소개 서비스입니다. 모링은 아래와 같..

작년 11월 즈음, 입사 동기의 추천을 받고 글또라는 동아리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자기 PR이 정말 중요해진 시대인 만큼, 기술 블로그를 꾸준히 운영하려는 목표를 항상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바쁜 일상을 핑계로 블로그에 전혀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었는데, 동아리가 주는 강제성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고민 없이 지원하게 되었다. 그 후로 순식간에 6개월이 지났으며, 글또 활동을 마무리할 시점이 왔다. 지난 6개월 간 글또에서 어떤 활동을 했고, 어떤 점이 좋았으며 어떤 점이 아쉬웠는지 키워드를 기반으로 작성해보고자 한다. 습관 글또를 통해 얻어간 가장 큰 수확은 글 쓰는 습관이 들었다는 것이다. 지금 하고 있는 업무가 블로그에 글로 남길만한가 생각해 보고, 무언가를 알아갈 때 추후 ..

서론 지난 4월 27일 토요일, IT 커뮤니티인 SIPE에서 주최하는 컨퍼런스인 사담콘이 시민청 태평홀에서 진행되었다. 나는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발표하게 된 과정과 후기를 간단히 작성해보려 한다. 발표 주제 선정 발표를 하겠다는 결정은 동아리 지원 시점부터 해두었다. 발표만큼 하고 싶은 말을 마음껏 할 수 있는, 그리고 자기 어필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또 없다고 생각한다. 발표 신청이 시작되고, 우리들의 성장통이란 주제로 컨퍼런스가 진행된다고 전달받았다. 본래 기술적인 내용으로 발표를 할 생각에 어떤 주제를 선정해야 할지 고민이 컸는데, 컨퍼런스 주제를 듣고 마음이 많이 편해졌다. 주니어 치고 이것저것 다양한 경험을 한 커리어를 성장과 연..

0. 서론 DB 관련 업무를 하다 보면 응당 하게 되는 고민이 있다. 바로 데이터의 중복이다. 대부분의 속성이 동일한 성질을 가지지만 몇 가지 정도의 속성만 다른 테이블이 적게는 2개, 많으면 수십개 존재하던 경험은 많은 서버 개발자들에게 일반적인 경험으로 자리 잡아 있다. 위 사진은 데이터 중복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서로 다른 테이블에 고객번호, 고객명이라는 중복된 속성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매우 간략화된 예시로, 업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사례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중복 속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훨씬 많은 테이블에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이번 아티클에선 데이터 중복을 해결하기 위한 모델링 기법인 슈퍼타입 및 서브타입 도출에 대한 소개를 해보려 한다. 해당 기법을 실무에서 활용..

서론 어떤 글을 쓸까 하다가, 조금은 특이할 수도 있는 필자의 커리어를 이야기해 보면 어떨까 싶었다. 나에 대한 소개를 할 때, 어쩌다 AI 관련 직무에서 서버를 만드는 사람이 되었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필자는 훌륭한 AI 엔지니어를 목표로 꾸준히 공부해오다가, 지금은 온전한 서버 개발자로서 일하고 있다. 이 글이 취업 혹은 이직을 준비하고 있는, 혹은 커리어에 대한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23년 1월, 자연어처리를 포기하며 지난 2022년 5월, 여자친구에게 잘 보이고 싶다는 시덥잖은 계기로 TUNiB이라는 스타트업에 입사했다. 2022 인공지능 경진대회에 참여하기 위한 3개월짜리 인턴이었으며, 아직 4학년 1학기를 보내던 시기었기 때문에 가벼..

서론 지난 약 4개월 간 DDD라는 사이드 프로젝트 동아리를 경험했다. 활동에 대한 회고를 작성해 본 적은 없지만, DDD를 통해 배운 점도 많았고 좋은 사람도 참 많이 만난 것 같기에 글을 작성해보려 한다. DDD란 동아리에 대해 소개하고, 내가 얻어간 점에 대해 소개하는 글이 될 것 같다. 이 글이 사이드 프로젝트 동아리를 하고 싶은, 혹은 DDD란 동아리에 대해 알고 싶은 분들께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DD란? DDD는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함께 성장하는 IT 연합동아리 DDD(Dynamic Developer Designer) 라는 캐치프라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아리다. 크게 백엔드, 프론트엔드 or Andriod and IOS, 디자이너 직군으로 팀이 구성되며, 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토스
- 개발자동아리
- 모델 추론 최적화
- mlops
- 사이드프로젝트
- 조직문화
- Gunicorn
- s3
- Ai
- 회고
- AWS
- ddd
- uvicorn
- 웹사이트배포
- S3+CloudFront
- Python
- 개발자회고
- 모델 추론
- 유난한도전
- 백엔드
- 규칙없음
- memory leak
- 정적웹사이트
- CloudFront
- Triton Inference Server
- 메모리 누수
- 넷플릭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